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BFS
- 스카이라인 쉬운거
- 백준 14501
- Kotlin
- 최단경로
- hilt
- 백준
- 완전탐색
- 2501
- dfs
- 오르막수
- Android
- 시뮬레이션
- EditText
- 프로그래머스
- 지능형 기차2
- 약수 구하기
- SWEA
- 순수함수
- 조합
- BuildConfig
- Parcelable
- 자바
- 백준 퇴사
- 순열
- java
- EditorInfo
- imeOptions
- val
- Parcelize
- Today
- Total
목록안드로이드/개념 정리 (3)
안드 공부를 해볼까?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hIxhG/btrZ72qv1Jc/OoKhPp8LgPDHyFaok0PMs0/img.png)
1. 개요 프로젝트를 할때마다 편하게 쓰는 Hilt를 더 배우고 싶어 DI부터 다시 정리할려고 합니다. 본 포스트는 드로이드나이츠 2020, 옥수환 님의 Hilt 강의를 보며 작성하였습니다. 2. 본문 2-1. DI란 무엇일까? DI(Dependency Injection)은 의존성 주입을 뜻합니다. /** DI가 없는 코드 */ class MemoRepository{ private val db = SQLiteDatabase() fun load(id : String){...} } /** DI를 한 코드 */ class MemoRepository(private val db : SQLiteDatabase){ fun load(id : String) {...} } 2가지 코드 모두 db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그..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b3xpwL/btrRBJstGCL/RwLti9Rk98B6k8cczktq00/img.png)
1. 개요 요즘 프로젝트를 하고 있는데 프레임워크의 사용법보다 아키텍쳐의 구조를 중점적으로 보고있습니다. Clean Architecture를 활용하는데 각 레이어마다 Model이 있는게 이상해서 같은 팀 선배에게 물어봤고 해답을 얻어 정리하고자 합니다. 왜 각 계층마다 Model이 있는지, 그냥 Data 레이어에서 받은 것을 사용하면 안되는지를 알아보고 이를 어떻게 활용하는지 보겠습ㄴ디ㅏ. 2. 차례 - 각 계층마다 Model을 사용해야할까? - 그렇다면 어떻게 사용하지? 필자가 프로젝트를 하며 느낀점을 위주로 작성했습니다. 굉장히 주관적(?)이니 틀린게 있으면 댓글을 남겨주세요. 3. 본문 1. 각 계층마다 Model을 써야하나? 사실 이게 제일 궁금했습니다. '어차피 우리는 서버에 있는 테이블 기준으..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rFIsv/btrDdnqXJvm/RBO4kuLXd7SPwPK9sNXU0K/img.png)
1. 개요 안드로이드를 개발하며 아키텍처 패턴을 처음 적용한 것이 MVC 패턴이였습니다. 간단하면서도 개발하기 쉬워 자주 사용했는데 MVVM을 처음 사용해보고 이제는 바꿔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정리도 하면서 개발에 더 도움이 되기 위해 글을 작성해보려 합니다. 2. 목차 1. MVC 2. MVP 3. MVVM 4. 정리 각자의 설명과 동작 순서, 장단점을 위주로 작성하였습니다. 마무리로 총 정리를 하고 어떤 패턴을 사용해야하는지 분류했습니다. 3. 본문 본문에 들어가기 전에 MVC, MVP, MVVM 이 단어들의 공통된 부분이 존재합니다. 바로 'M', 'V'입니다. M = Model(표현하고자 하는 데이터) V = View(UI, 화면에 표시되는 요소) 이 2가지는 반드시 필요한 존재입니다. 2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