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java
- 시뮬레이션
- Parcelable
- 백준 14501
- EditText
- 오르막수
- hilt
- dfs
- 지능형 기차2
- 백준
- Android
- 순열
- 자바
- 2501
- 최단경로
- SWEA
- 순수함수
- 프로그래머스
- BFS
- 스카이라인 쉬운거
- BuildConfig
- 약수 구하기
- 완전탐색
- EditorInfo
- 백준 퇴사
- 조합
- Parcelize
- imeOptions
- val
- Kotlin
- Today
- Total
목록문법 (9)
안드 공부를 해볼까?
1. 개요 이 포스트는 Kotlin in Action을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지난 포스트는 코틀린의 변수와 함수를 간단하게 배웠습니다. 이번 포스트는 코틀린에서의 클래스와 프로퍼티를 배우겠습니다. 2. 목차 - 코틀린에서의 클래스 - 프로퍼티 - 접근자 커스텀하기 3. 본문 1. 코틀린에서의 클래스 먼저 자바에서의 클래스를 생각해보겠습니다. public class Student { public final String name; public final int age; public Student(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int getAge..

1. 개요 Kotlin IN ACTION 이라는 책을 사용해 코틀린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코틀린을 사용한지 1년이 되는 지금, 내가 모르는 부분이 더 있는지, 더 deep하게 들어가기 위해 정리하고자 합니다. (사실 스터디 때문에 샀는데 스터디 파토난지 꽤 됐다..) 2. 목차 - 함수 - 변수 3. 본문 1. 함수 먼저 코틀린을 사용하기전에 자바를 사용했던 사람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모두다 main 함수에 Hello World를 사용해봤을 겁니다. public class Solutio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fun main(args: Array) { print("Hell..
1. 개요 코틀린을 공부하며 순수함수라는 개념이 나왔습니다. 지난 프로젝트에서도 순수함수를 사용해 코드 중복을 방지하라고 팀원이 말했는데 이번기회에 공부할려고 합니다. (본 게시글은 코틀린 인 액션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 2. 본문 1. 순수함수란 무엇일까? 순수함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핵심개념 중 하나에 사용됩니다. - 일급 시민인 함수: 함수를 일반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불변성: 일단 만들면 내부 상태가 절대로 바뀌지 않습니다. - 부수 효과 없음: 입력이 같으면 항상 같은 출력을 내놓고 다른 객체의 상태를 변경하지 않습니다. 우리는 부수 효과 없음을 위해 순수함수를 사용합니다. 즉, 순수함수는 어떤 함수에 동일한 인자를 주었을 때 항상 같은 값을 return 하는 함수입니다. 2..
2022.09.27 - [문법/Kotlin] - [확장함수] 코틀린 함수로 호출하기 쉽게 만들기 [확장함수] 코틀린 함수로 호출하기 쉽게 만들기 2022.09.27 - [문법/Kotlin] - [확장함수] 코틀린에서 컬렉션 만들기 [확장함수] 코틀린에서 컬렉션 만들기 기본적인 컬렉션(list, set, map)은 숙지하고 있다고 작성했습니다. 컬렉션 만들기 컬렉션은 **Col moonbari.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계속됩니다. 확장함수는 같은 클래스의 멤버 메서드인 것 처럼 호출할 수 있는 함수를 말합니다. 사용방법은 확장하고자 하는 함수 앞에 클래스의 이름을 작성해주면 됩니다. fun String.lastChar() : Char = this.get(this.length -1) //same..
2022.09.27 - [문법/Kotlin] - [확장함수] 코틀린에서 컬렉션 만들기 [확장함수] 코틀린에서 컬렉션 만들기 기본적인 컬렉션(list, set, map)은 숙지하고 있다고 작성했습니다. 컬렉션 만들기 컬렉션은 **Collection name + Of(value)**로 초기화 합니다. 안에 자료를 넣어주지 않는다면 반드시 자료형을 명시해줘야 moonbari.tistory.com 이전 포스팅에서 계속 됩니다. 앞서 본 list를 출력할 때 코틀린은 자바와 다르게 default로 출력이 됩니다. 그렇다면 기존 나오는 [1,2,3]을 {1;2;3}으로 바꿀 수 있을까요? 아마 자바에서는 3rd party library나 직접 관련 로직을 구현해야 할겁니다. 반면 코틀린은 이를 직접 구현할 수 있습..
기본적인 컬렉션(list, set, map)은 숙지하고 있다고 작성했습니다. 컬렉션 만들기 컬렉션은 **Collection name + Of(value)**로 초기화 합니다. 안에 자료를 넣어주지 않는다면 반드시 자료형을 명시해줘야 합니다. map 같은 경우, to를 통해 자료를 넣어줍니다. (key to value) //collection + Of로 데이터를 입력하면서 초기화가 된다. //단, 형을 표시해주지 않으면 1개라도 자료를 넣어줘야 한다.(그래야 타입추론이 가능) val set : HashSet = hashSetOf() val list = arrayListOf(1,2,3) //여기서 to는 일반함수다. //A to B -> key = A, value = B val map = hashMapOf(..
1. 개요 지난번에 조합에 이어 순열을 정리해볼려고한다. 알고리즘을 푸는 중 조합 + 순열을 사용해서 푸는 문제가 있었다. 2개 다 까먹어서 한번 더 볼겸 순열을 정리할려고 한다.. 2. 목차 - 순열이란? - Swap을 활용한 순열 - Visited배열을 활용한 순열 순열은 어렵지 않으니 간단하게 보고 2가지 방법으로 구현해보자. 3. 본문 1. 순열이란? 순열(Permutation)은 고등학교 때 한번 슬쩍 배웠을 것이다. 간단한 예제를 보자 숫자 1,2,3,4를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2개를 뽑는 방법은? 1 2, 1 3, 1 4 | 2 1, 2 3, 2 4 | 3 1, 3 2, 3 4 | 4 1, 4 2, 4 3 -> 총 12개가 된다. 가볍게 생각해보면 4개중 순서 상관없이 2개, 4P2 -> 4..
1. 개요 싸피 교육기간 중 알고리즘을 배우는 시간 있었다. 순열과 조합에 대해 굉장히 중요하다고 하셨고 이를 구현해봤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가 안갔다. 그래서 구글링을 하며 내걸로 만들고자 이번 포스팅을 준비했다. 2. 목차 1. 조합이란? 2. 조합을 뽑는 방법 3. 구현 먼저 조합이 무엇인지와 구조를 이해하고 구현을 했다. 구글에 존재하는 코드를 이해하지 않고 적었다면 이 포스팅으로 이해해보자. 3. 본문 1. 조합이란? 항상 수학시간에 궁금했던 문제다. 순열과 조합은 도대체 무슨차이일까? 필자는 단순 중복여부를 생각했다. 순열은 순서에 상관없이 다 뽑아내고 조합은 중복이 되면 안되는 것이고. 간략하게 생각해보면 위에 말이 맞다. 예시를 들어보자 우리는 1,2,3을 사용해서 2개를 뽑을 것이다. ..